![]() |
[연구보고서] 한국사회 “초국적 모성”(Transnational Motherhood)의 실태와 정책 수요 개발 | ||||
---|---|---|---|---|---|
![]() |
202012 | ||||
![]() |
2020-10 | ||||
![]() |
함인희 | ||||
![]() |
박민정 | ||||
![]() |
연구보고서 | ||||
![]() |
|
||||
내용보기 | |||||
지금까지 이주의 여성화에 주목한 연구들은 주로 이주 모성이 부국(富國)에서 직면하게 되는 노동 조건이나 환경, 그리고 빈국(貧國)에 두고 온 자녀들과 가족 역할의 재조정 등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주의 효과에 대한 보다 거시적 분석틀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빈국으로부터 부국으로 ‘사회 자본’의 전이가 이루어지는 과정, 더불어 부국의 시장에 의해 빈국의 가족 및 친족 공동체가 근본적으로 부식되는 과정에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이주의 여성화와 함께 등장한 초국적 모성에 내포된 다양한 의미에 주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