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정책연구원은 이민정책개발을 위한 연구와 교육
그리고 국내외 네트워크와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서브메뉴

이민정책 Weekly Report(2023-03-20)

2023.03.20

List

  • 첨부파일
  • 조회수 61
이민정책 Weekly Report
 
 
 

2023년 3월 20일

 
· 일자리 미스매치·저출산 심화… 이민 수용 확대 검토 때 됐다(국민일보, 2023.3.14.)
· 한동훈 "체계적 이민정책 없는 국가 성공 못해"(매일경제, 2023.3.15.)
· 유럽 3국에 실무 핫라인 개설...한동훈, '이민청' 설립 속도 낸다(파이낸셜뉴스, 2023.3.15.)
· 첫 외국인 유학생 취업박람회…외국인 정착 계기 될까?(KBS, 2023.3.17.)(KBS, 2023.3.17.)
· 경북도 모범적 외국인공동체 사회 만든다(중도일보, 2023.3.19.)
· 이탈리아 가던 ‘난민 배’ 또 뒤집혀…2주전엔 76명 익사(국민일보, 2023.3.13.)
· 난민 아기에 젖병 물려주던 '그리스 할머니'..93세 나이로 세상 떠났다(파이낸셜 뉴스, 2023.3.14.)
· 난민정책 비판했다고 출연정지…英BBC 공정성 논란, 무슨일?(조선일보, 2023.3.14.)
· "추방 당하고 싶어"... 英대학생 칼로 찌른 난민 '징역 6년'(파이낸셜뉴스, 2023.3.15.)
· 시리아 난민 받으며 한 걸음 더 나아간 베를린…압둘라 “한숨 돌리는 데 7년, 이제는 직접 참여”(경향신문, 2023.3.16.)

한동훈 법무부장관, 독일 연방내무부 방문

▣ 담당부서: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이민조사과

▣ 작성일: 2023.3.14.(화)

▣ 내용: 한동훈 법무부장관은 3월 13일(현지 시각) 독일 이민정책 주무부처인 연방내무부(베를린 소재)를 방문하여 리타 슈바르첼루어 슈터(Rita Schwarzelühr -Sutter) 연방내무부 차관과 회담하였다.
이 자리에서 한동훈 법무부장관과 리타 슈바르첼루어 슈터 차관은 경제구조가 유사한 한국과 독일은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서 전문인력 유치 등 이민정책이 필수적이고, 사회통합도 중요하다는 점에 공감하였으며, 불법체류 엄정 관리 문제 등 양국의 이민정책 현안을 공유하였습니다. 나아가 앞으로도 양국 간 이민정책 관련 정보교류 및 협력을 지속하기로 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홈페이지를 확인해 주세요.

 

미 이민국, 투자이민비자(I-526E) 청원자에 대한
생체인식정보 요구 삭제

▣ 원제목: USCIS Removes Biometrics Requirement for Form I-526E Petitioners

▣ 발표기관: U.S.Iitizenship and Immigration Services

▣ 발표일: 2023.3.15.(수)

▣ 내용: : 2023.3.15.(수) ▣ 내용: 3월 15일 자로 미 이민국은 투자 이민 비자를 제출하려는 청원자를 대상으로 생체정보 제출과 85달러 수수료 요건을 삭제한다고 밝혔다. 단, INA 203(b)(5)(H)(iii), 8 CFR 103.2(b)(9) 또는 기타 적용 가능한 규정에 따라 필요할 수 있는 경우 I-526E 청원자에게 생체 인식 제출을 요청할 수 있다. 2022년 위 청원서 양식이 공개된 이후, 생체정보 수수료와 함께 제출된 약 980건의 I-526E 양식 청원서를 접수하였고, 당국은 앞으로 몇 주 안에 이 수수료를 환급할 예정이며, 청원인은 환급을 요청하기 위해 USCIS에 연락할 필요가 없다.
이민국은 업데이트된 지침과 함께 2023년 3월 15일 자 양식 I-526E의 개정판을 발표했으며, 5월 15일부터는 I-526E 양식(2023.3.15.자 개정판)만 접수할 예정이다. 그전까지는 기존 양식(2022.6.1.자) 또는 신규 양식을 제출할 수 있다. 단, 청원인은 이전 양식에는 생체정보 요구사항이 포함되어 있음을 참고해야 한다.

※ 관련 자세한 내용은 미국 이민국 홈페이지를 확인해 주세요.

▣ 저자: 장주영

▣ 발행기관: 이민정책연구원

▣ 발행연도: 2022

▣ 내용: 이 연구는 코로나19시기 서울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외국인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보았다. 한국인과 외국인 주민 모두의 코로나 관련 경험을 조사한 서울서베이 2020, 2021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먼저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코로나 시기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인과 외국인 주민 간에 비교해 보았고, 건강 관련 요인과 사회 적응 및 사회적 관계가 외국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코로나로 인한 경제적 상황 변화는 2020년에는 한국인의 우울감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2021년에는 한국인과 외국인 모두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인구사회학적 요인보다는 건강 관련 요인과 사회 적응 및 사회적 관계가 외국인의 코로나 시기 우울감에 대해 더 큰 설명력을 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본 논문은 이민정책연구원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 원제목: With Immigration on the Mind, a New Wave of Populism Swells in Europe

▣ 발표기관: Migration Policy Institute

▣ 발표일: 2022년 12월

▣ 내용: 2022년 유럽 국가들에서 치른 선거에서 민족주의에 기반을 둔 정당들이 승리를 휩쓰는 현상들이 두드러졌다. 특히 스웨덴과 이탈리아에서는 극우 정당들이 주요 선거에서 승리했다. 유럽 전역에서는 우파적인 대중영합주의 정당들이 재부상했다. 헝가리 빅터 오르반 총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중립적인 태도와 이민자에 대한 저지에 대해 유권자의 지지를 받아 지난 4월 5번째 연임에 성공했으며, 덴마크의 경우 르완다 출신의 비호 신청자에 대한 송환 등 이민에 대한 더욱 제한적인 조치를 일부 받아들였으며, 프랑스에서는 우파정당의 마린 르팽이 기록적인 득표율을 얻음으로써 민족주의와 반이민의 기반을 세웠다.
미 대륙의 경우에는 상황이 다소 복잡하여 좌파 정권들이 들어섰음에도 기존의 반이민 정책 기조를 유지하거나 약간 우호적인 태도로 변화한 국가들이 있었다. 이러한 각 나라의 모습을 종합해보면, 유럽에서는 민족주의와 이민에 회의적인 우파정당이 상승세를 보이는 한편 남미의 새로운 좌파 정권들은 이러한 이슈에 대해 같은 모습이 보이지 않고 있다. 한편 호주, 캐나다 및 서유럽의 국가 등 일부에서는 고학력 노동자만 외국인을 수용하기 위한 노력을 하려는 모습들도 보인다.

※ 자세한 내용은 이주정책연구소(MPI) 홈페이지를 확인해 주세요.
기간제 행정원(2인) 공개채용
이민정책연구원에서 이민자와 지역사회, 정부정책과 국제관계를 아우르는 이민정책을 개발 ·확산하는 사업에 사명감을 갖고 함께 일할 역량 있는 인재를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 원서접수: '23.3.13.(월)~3.28.(화), 23:59까지

▣ 접수방법: 이메일(hr@mrtc.or.kr)

▣ 채용분야 및 모집인원: 행정원 2인

▣ 고용형태: 계약직

▣ 문의: 기획관리팀(hr@mrtc.or.kr / 02-3788-8013)

※ 자세한 내용은 연구원 홈페이지를 확인해 주세요.

TBS eFM, Diverse Voices 기획코너
"Oh, Mi-gration"
IOM 한국대표부 Steven Hamilton 대표 출연
▣ 일시: 2023.3.15.(수), 16:35 ~ 16:55

▣ 진행자: 이자스민 前 국회의원

▣ 출연자: IOM한국대표부 대표 스티브 해밀턴

▣ 인터뷰 주제: 국제이주기구(IOM) 소개 등

▣ 오디오 클립: 바로가기
[월간 인도네시아] 정치외교 강연 시리즈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한-인도네시아 50주년 수교 기념으로 인도네시아 정치외교 강연시리즈를 진행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일정: 2023년 3월 ~ 6월

▣ 장소: 서강대학교(구체적인 장소는 추후공지)

▣ 내용: 한-인도네시아 50주년 수교 기념 인도네시아 정치외교 강연시리즈

▣ 문의: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sieas@sogoang.ac.kr)

※ 자세한 내용은 서강대 동아연구소 홈페이지를 확인해 주세요.

New Neighbours project final conference: Inclusion of persons with approved international protection in Croatian society
▣ 원제목: 새로운 이웃 프로젝트 콘퍼런스(최종): 크로아티아 사회의 국제적 보호 승인 대상자의 수용

▣ 일시: 2023.3.20(월) 9:30~14:30 (크로아티아)

▣ 장소: 서강대학교(구체적인 장소는 추후공지)

▣ 장소: 쉐라톤 호텔, 자그레브, 크로아티아

▣ 내용: 크로아티아 내 국제적 보호를 승인받은 이들에 대한 프로젝트 성과, 교훈 및 향후 과제에 대한 지침과 권장 사항

▣ 주최: Centre for Cultural Dialogue(문화적 대화 센터)

▣ 문의: center@ccd.hr

※ 자세한 내용은 해당 홈페이지를 확인해 주세요.


이민정책연구원 소식을 더 많이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 자주 방문해 주세요 :)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RTC.RE.KR
트위터: https://twitter.com/MRTC_re_kr
카카오톡 옐로ID: http://plus.kakao.com/home/ngirxyu5
이민정책연구원 홍보책: https://bit.ly/36TVsHK

* 본 메일은 이민정책연구원에서 발송되었습니다.

구독신청 Subscribe

이민정책 Weekly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