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4 |
신남방정책의 이민정책적 고찰: 아세안을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
2020-11-09 |
198 |
373 |
글로벌 이주의 결정 요인에 대한 시스템 사고 |
이주사학회 |
2020-11-02 |
191 |
372 |
본국가족초청제도가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베트.. |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
2020-10-23 |
201 |
371 |
저출산 고령화시대 미국, 캐나다, 호주의 이민정책 비교 연구: 이.. |
한국비교정부학회 |
2020-10-19 |
267 |
370 |
경계분석을 활용한 이민정책 구조화에 관한 연구: 이민정책 연구..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
2020-10-08 |
206 |
369 |
중장기 한국 이민정책의 방향 모색-외국인력 정책의 성과 분석을 .. |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
2020-09-28 |
266 |
368 |
포르투갈 이민법의 최근 동향과 향후 과제: 유럽통합과 브렉시트 .. |
서강대학교 국제지역문화원 |
2020-09-21 |
142 |
367 |
이주민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국민의 일자리에 관한 시론적 연.. |
한국이민정책학회 |
2020-09-11 |
193 |
366 |
한국 다문화 가족의 정책수단에 관한 연구 |
한국이민정책학회 |
2020-09-07 |
218 |
365 |
국내 지방자치단체의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 참여 연구 |
한국이민정책학회 |
2020-08-31 |
155 |